LH주택공사 홈페이지에서는 청년, 신혼부부, 주거취약자, 무주택 서민이 지원할 수 있는 주택의 임대 조건 및 소득 자산 기준 등에 대한 정보를 게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임대주택 유형별 종류, 입주대상, 소득 자산 기준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H주택공사 홈페이지 바로가기
LH주택공사 홈페이지
홈페이지의 '사업소개' - '주거복지사업'으로 접속하면 임대주택 유형별 입주대상, 임대조건 및 기간, 지원 가능한 소득 자산 기준 등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입주대상은 청년·신혼부부계층, 주거취약계층, 무주택 서민, 주거급여, 공동주택관리지원, 공동주택 분쟁조정, LH희망상가 등이 있습니다.
입주대상 및 임대조건 기간
임대 유형은 크게 건설임대, 매입임대, 전세임대가 있고 여기에서 세부 유형이 나뉩니다. 종류에 따라 입주대상, 임대조건, 임대 기간이 달라집니다. 유형에 해당하는 입주 대상자가 소득 자산 기준을 충족한다면 청약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유형별 청약 정보는 "LH 청약센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임대
유형형 | 입주대상 | 임대조건(시세) | 기간 |
국민임대주택 | 무주택 저소득 | 60~80% | 30년 |
영구임대주택 | 사회보호계층 | 30% | 50년 |
행복주택 | 젊은계층 | 60~80% | 6~20년 |
50년 임대주택 | 임대거주 | 90% | 50년 |
5년 분양전환 | 5년 임대 종료 입주자 우선분양 |
90% | 5년 |
10년 분양전환 | 10년 임대 종료 입주자 우선 분양 |
90% | 10년 |
매입임대
유형 | 입주대상 | 임대조건(시세) | 기간 |
일반 | 최저소득자 | 30% | 20년 |
고령자 | 65세 이상 | 40% | 20년 |
다자녀 | 자녀 2명이상 | 30~40% | 10년 |
청년 | 저소득 청년 | 40~50% | 6년 |
기숙사형 청년 | 저소득 청년 | 40% | 20년 |
신혼부부1 | 저소득 부부 | 30~40% | 10년 |
신혼부부2 | 저소득 부부 | 70~80% | 6년 |
공공전세 | 3~4인 가구 | 80~90% | 30년 |
전세임대
유형 | 입주대상 | 임대조건 | 기간 | |
보증금 | 임대료 | |||
일반 | 최저소득자 | 2~5% | 연 1~2% | 30년 |
다자녀 | 자녀 2명이상 | 2% | 연 1~2% | 20년 |
청년 | 저소득 청년 | 100~200만원 | 연 1~2% | 10년 |
신혼부부1 | 저소득 부부 | 5% | 연 1~2% | 20년 |
신혼부부2 | 저소득 부부 | 20% | 연 1~2% | 10년 |
아래에서는 건설임대, 매입임대, 전세임대별 한 가지 유형별 예를 들어 소득자산 기준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임대주택
건설임대 중 무주택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주택입니다. 소득 기준은 월평균 소득 70% 이하를 만족하고 부동산, 자동차, 금융자산 총합계가 3.61억 원 이하여야 하고, 차량 자산이 3,683만 원을 넘어갈 경우 신청할 수 없습니다. 아래에서 국민임대주택 모집공고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매입임대 주택(고령자)
65세 이상 입주 대상자 중 1순위 및 2순위로 나눠 접수를 받습니다. 1순위는 의료 및 생계 수급자, 한부모, 고령자, 월평균 소득 70% 이하 장애인, 소득 기준 임차료 비율이 30% 이하인 경우입니다. 2순위는 월평균 소득이 100% 이하인 장애인이거나 50% 이하여야 합니다.
소득 자산 기준은 무주택 세대의 구성원이면서 영구 임대주택의 자산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만약 한부모가족 및 수급자, 차상위계층에 속한다면 소득 확인은 별도 하지 않고, 자격확인 증명서로만 대체될 수 있습니다.
일반 전세임대 주택
일반 전세임대 주택의 입주대상과 소득 자산 기준은 위의 매입임대 주택(고령자)과 조건이 동일합니다. 전세금 지원 한도 금액은 수도권 1.3억, 광역시 9천만 원, 기타 7천만 원이며 거주기간은 2년입니다. 요건 충족 시 재계약은 14회 할 수 있고, 최장 30년까지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임대주택 유형별 종류, 입주 대상, 소득 자산 기준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인천, 전남, 광주, 대구, 부산, 대전, 전북 등 지역별 보다 자세한 정보는 LH주택 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